REACT 소개와 특징
React는 페이스북(현재 메타)에서 개발한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013년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도 가장 인기 있는 프론트엔드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개발자와 기업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React의 핵심 특징은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입니다. 화면을 작은 단위의 컴포넌트로 나누어 재사용 가능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또한 React는 가상 DOM(Virtual DOM) 기술을 사용해 실제 DOM 조작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 시 화면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갱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이 부드럽습니다. 이런 특성은 대규모 서비스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보장합니다. 무엇보다 React는 자바스크립트만 이해해도 쉽게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HTML과 유사한 JSX 문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프론트엔드 입문자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으며, 풍부한 커뮤니티와 생태계 덕분에 자료와 라이브러리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REACT JSX와 컴포넌트
React에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개념은 JSX와 컴포넌트입니다. JSX는 자바스크립트 안에서 HTML 태그를 직접 작성할 수 있는 확장 문법입니다. 예를 들어 const element = <h1>Hello, React!</h1>와 같이 작성하면 코드가 직관적이고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JSX는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Babel 같은 트랜스파일러를 통해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됩니다. 컴포넌트는 React의 핵심 단위로, 화면의 특정 부분을 독립적으로 표현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형 컴포넌트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함수형 컴포넌트와 훅(Hooks)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예를 들어 버튼, 입력창, 네비게이션 바 같은 UI 요소를 각각 컴포넌트로 만들면 코드 관리가 훨씬 쉬워지고 중복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는 입력값에 해당하는 props와 내부 상태인 state를 활용해 동적으로 변하는 UI를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순히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UI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습니다. 이런 컴포넌트 기반 접근 방식은 현대적인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철학으로, React가 많은 개발자에게 사랑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REACT 상태 관리와 Props
React에서 상태(state)와 속성(props)은 UI를 다루는 핵심 개념입니다. props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 전달하는 읽기 전용 데이터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의 색상이나 텍스트를 props로 전달하면 동일한 버튼 컴포넌트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동적인 데이터로, 사용자 입력이나 이벤트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크박스 선택 여부, 입력창 값, 모달창 열림 상태 같은 정보는 state로 관리됩니다. state가 변경되면 React는 자동으로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하여 UI를 최신 상태로 유지합니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State 훅을 사용해 state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라고 선언하면 count 값이 0으로 초기화되고, setCount 함수를 통해 값을 갱신할 수 있습니다. React의 강점은 이러한 데이터 흐름이 단방향이라는 점입니다. 즉, 부모에서 자식으로만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예측하기 쉽습니다. 이 개념을 잘 이해하면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안정적으로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REACT 이벤트 처리와 생명주기
React에서 이벤트 처리는 HTML 이벤트 처리 방식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JSX에서는 이벤트 핸들러 이름을 소문자가 아닌 카멜 표기법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HTML에서는 onclick이라고 쓰지만 React에서는 onClick이라고 작성합니다. 또한 JSX에서는 문자열이 아닌 함수 참조를 전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button onClick={handleClick}>Click Me</button>처럼 코드를 작성해야 하며, 이때 handleClick은 미리 정의된 함수입니다.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생명주기(Lifecycle) 메서드를 통해 컴포넌트의 생성, 업데이트, 소멸 시점에 특정 로직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함수형 컴포넌트가 주류가 되면서 이제는 useEffect 훅을 사용해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API 요청이나 DOM 조작 같은 부수 효과(side effect)는 useEffect 내부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처리와 생명주기 관리 개념은 React로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요소입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개발자는 UI의 상태와 동작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예측 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REACT 기초 문법 정리 결론
React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 중 하나입니다. 컴포넌트 기반 구조와 JSX 문법, state와 props를 활용한 데이터 흐름, 이벤트 처리와 생명주기 관리 방식은 프론트엔드 개발을 단순화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특히 React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폭넓게 사용됩니다. 또한 풍부한 문서와 커뮤니티 덕분에 초보자가 배우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 & CSS3 기초: 웹 개발의 첫걸음 가이드 (0) | 2025.09.10 |
---|---|
Git & GitHub 사용법: 협업과 버전 관리를 위한 기초 가이드 (0) | 2025.09.10 |
ERD 설계 방법: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기초 가이드 (0) | 2025.09.10 |
GO 언어 기초 문법 정리: 처음 배우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0) | 2025.09.10 |
REST API란 무엇인가? (0)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