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사용법: 협업과 버전 관리를 위한 기초 가이드
Git & GitHub 소개와 특징
Git은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2005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해 처음 만들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 수많은 개발자가 사용하는 표준 도구가 되었습니다. Git을 사용하면 코드 변경 내역을 기록하고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하더라도 충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GitHub는 Git 저장소를 클라우드에 호스팅하고, 협업을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Git이 코드 버전 관리 도구라면 GitHub는 이를 기반으로 협업과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itHub에서는 저장소를 공개하거나 비공개로 관리할 수 있고, 이슈 관리, 코드 리뷰, 프로젝트 보드 같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대부분 GitHub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개발자라면 Git과 GitHub를 함께 익히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두 도구를 활용하면 개인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팀 프로젝트까지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협업이 가능합니다.
Git & GitHub 기본 명령어와 흐름
Git을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저장소를 초기화하는 것입니다.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새로운 Git 저장소가 만들어집니다. 이후 파일을 수정하거나 추가한 뒤에는 git add . 명령어로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하고, git commit -m "메시지"로 실제 기록을 남깁니다. 이렇게 기록된 내역은 git log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려면 git remote add origin [주소]를 입력하고, git push origin main 명령어를 통해 로컬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인 GitHub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다른 사람이 올린 코드를 가져오려면 git pull origin main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흐름은 “수정 → add → commit → push”입니다. GitHub에서는 이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Pull Request(PR) 기능을 통해 팀원 간 코드 리뷰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협업 시 코드 충돌을 최소화하고, 프로젝트의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Git & GitHub 브랜치와 협업 방식
Git에서 브랜치는 새로운 기능 개발이나 버그 수정을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저장소는 main 또는 master 브랜치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때는 git branch feature/login으로 브랜치를 생성하고 git checkout feature/login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git switch 명령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브랜치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git merge를 통해 main 브랜치에 병합합니다. 이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Git은 충돌 지점을 표시해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GitHub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Pull Request(PR)로 처리합니다. 개발자가 새로운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에 push하면 팀원들이 코드를 리뷰하고, 문제가 없다면 main 브랜치에 병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 품질이 향상되고, 팀원 간 협업이 원활해집니다. 브랜치를 적절히 활용하면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체계적으로 작업을 나눌 수 있으며, 코드 관리가 훨씬 깔끔해집니다.
Git & GitHub 오픈소스와 활용 사례
GitHub는 단순히 코드를 저장하는 곳을 넘어 전 세계 개발자들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관심 있는 프로젝트를 포크(Fork)해서 자신의 저장소로 가져올 수 있고, 수정한 뒤 Pull Request를 보내면 원본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초보 개발자도 쉽게 오픈소스에 참여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기업이 오픈소스를 통해 기술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또한 GitHub는 개인 포트폴리오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진행한 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려 두면 채용 담당자나 다른 개발자가 코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개발 역량을 증명하는 좋은 수단이 됩니다. GitHub Actions를 사용하면 빌드와 테스트를 자동화할 수 있고, GitHub Pages를 활용하면 정적 웹사이트를 무료로 호스팅할 수도 있습니다. 즉 GitHub는 단순한 협업 툴을 넘어 개발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it & GitHub 사용법 정리 결론
Git과 GitHub는 현대 개발 환경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도구입니다. Git은 코드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GitHub는 이를 기반으로 한 협업과 공유를 지원합니다. 기본적인 명령어만 익혀도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고, 브랜치와 Pull Request 같은 기능을 익히면 팀 단위 협업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GitHub는 오픈소스 활동과 포트폴리오 관리, 자동화 및 배포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