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25

Git & GitHub 사용법: 협업과 버전 관리를 위한 기초 가이드

Git & GitHub 소개와 특징Git은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2005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해 처음 만들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 수많은 개발자가 사용하는 표준 도구가 되었습니다. Git을 사용하면 코드 변경 내역을 기록하고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하더라도 충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GitHub는 Git 저장소를 클라우드에 호스팅하고, 협업을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Git이 코드 버전 관리 도구라면 GitHub는 이를 기반으로 협업과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itHub에서는 저장소를 공개하거나 비공개로 관리할 수 ..

IT 2025.09.10

ERD 설계 방법: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기초 가이드

ERD 소개와 특징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도구입니다. ERD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엔티티(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를 도형으로 나타내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회원’, ‘상품’, ‘주문’과 같은 개념은 각각 엔티티로 표현되고, 회원 이름이나 상품 가격 같은 세부 데이터는 속성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회원이 상품을 주문한다는 사실은 관계로 표현됩니다. 이렇게 시각적으로 구조를 표현하면 개발자뿐만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 심지어 비전공자도 데이터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ERD는 단순히 그림을 그리..

IT 2025.09.10

REACT 기초 가이드: 처음 배우는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

REACT 소개와 특징React는 페이스북(현재 메타)에서 개발한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013년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도 가장 인기 있는 프론트엔드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개발자와 기업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React의 핵심 특징은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입니다. 화면을 작은 단위의 컴포넌트로 나누어 재사용 가능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또한 React는 가상 DOM(Virtual DOM) 기술을 사용해 실제 DOM 조작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 시 화면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

IT 2025.09.10

GO 언어 기초 문법 정리: 처음 배우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GO 언어 소개와 특징Go 언어는 2009년 구글에서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로, 흔히 Golang이라고도 불립니다. 기존의 복잡한 언어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성능은 유지하려는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Go 언어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컴파일 속도와 뛰어난 동시성(concurrency) 지원입니다. 다른 언어에서 멀티스레드를 구현하려면 복잡한 코드와 자원 관리가 필요하지만, Go 언어에서는 고루틴(goroutine)과 채널(channel)이라는 개념을 통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천 개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서버를 개발할 때 Go 언어는 안정성과 성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또한 Go는 가독성을 중요시하여 불필요한 문법 요소를 최소화했습니다. 중괄호의 위치나 세미콜론 작성 같은 사소..

IT 2025.09.10

REST API란 무엇인가?

REST API 정의REST API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표현하고 이를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한 일종의 약속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2000년 로이 필딩의 논문에서 처음 제안되었고, 이후 웹 서비스 통신 방식의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REST는 특정 기술이나 언어에 종속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집니다.예를 들어 /users라는 주소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주소는 “사용자”라는 자원을 의미합니다. 만약 GET 요청을 보내면 사용자 목록을 가져오..

IT 2025.09.10
반응형